1.미국의 예술무용
1800년이 되면서 동부지역에 극장이 건립되고 뉴욕과 필라델피아는 무용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프랑스의 무용수들이 미국의 발레를 지배하기 시작했다. 휘땐 (hutin) 은 최초로 성공한 발레리나 였다. 1840년 에는 엘쓸러가 2년에 걸쳐 전 미국을 순회 공연하여 대단한 성공을 거두었다. 이밖에도 미국에서 공연을 한 무용수 중에는 마리따 글리오니, 쁘띠빠, 엔리코, 체크쉐티 등이 있었으며 이들은 미국 발레의 전통을 창조하지는 못했으나 미국의 우수한 발레리나를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 때의 미국의 무용수 가운데 뛰어난 사람으로는 마리 안리, 줄리아 턴빌, 어거스타 메이우드. 조지 워싱턴 스미스 등이 있었다.
1800년대 후반에는 이들 무용수와 겨룰 만한 사람이 미국에서는 나타나지 않았고 발레도 점점 퇴보하였다. 그 이유는 정부가 다른 나라에서 오는 무용 단체들은 후원하면서도 미국 내의 무용가들의 가치는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고전발레와는 반대로 1866년 뉴욕의 니블로즈 가든에서 공연된 뮤지컬 더 블랙 크룩 은 전 미국을 4년간이나 순회하며 공연하여 대단한 성공을 거두었다. 이 작품에서 무용수들은 짧은 의상의 발레복을 입었다.
춤에 대한 관심은 점차 증가하여 1800년대 중엽에는 뉴욕시에 무용 교사가 8명이었던 것이 1896년에는 63명이 되었다.
이들은 대부분 사교춤과 발레 과목을 함께 가르쳤다.
2. 사교춤의 유행
1800년대 초에는 사교춤이 크게 유행한 되었다. 도시에서는 무용 교사들이 정규반에 대해 가르쳤고 상류층에서는 무용 교육이 가정교육의 상징인 것처럼 여겨졌다. 모든 모임의 절정은 춤이었고, 인기 있는 오락이었으며, 사람들은 춤을 사랑하였다.
이때의 사고 춤의 종류는 버지니아 왈츠, 컨트리 지크, 쉐이크 다운즈 등이 있었다.
1830년대에는 유럽에서 왈츠와 폴카가 유행했고 바로 미국으로 수입되어 열정적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왈츠와 폴카 춤은 종교계를 비롯한 사회 각층에서 도덕적으로 타락한 춤이라는 비난과 비판을 받았다. 상류사회 사람들은 공식적인 회합에서는 코티용을 추었고 입장료를 받는 무도회장이 전국에 설치되었다.
1800년대 후반에는 주요 도시의 번화가에 부유하고 명망 있는 사람들을 위한 거대한 무도장이 있었다. 대부분의 단체는 연례 무용 행사를 열었고 중상류 계층들은 부부가 일년내내 무용반에 참석하는 일도 흔히 있었다.
이 행사의 전형적인 프로그램은 왈츠, 폴카 군대 행진, 카드릴 요크 , 호트랜드 팬시, 캘리포니아, 버지니아 릴 등이 있다. 이들 중 왈츠나 폴카를 제외한 대부분은 세트댄스나 라인댄스였다. 춤은 점점 호화스럽고 대규모화해가기 시작했다.
1885년 다드위쓰 는 사교춤 교재를 펴냈는데 여기에서 스텝과 도표를 곁들인 춤의 체제와 개요가 음악과 함께 상세하고 명확하게 설명되어있다.
3.흑인 춤의 출현
1800년대에는 북미 대륙에 흑인의 춤과 음악이 나타났다. 아프리카에서 온 노예들은 고향의 민속과 종교적인 전통춤을 기독교로 개종을 한 후에도 계속하여 추었다. 1800년대 초에는 뉴올리언스 노예들은 그들의 비참한 처지를 달래기 위한 수단의 일종으로 춤추는 것이 허용되었다. 흑인의 의식과 신앙에서 비롯된 춤을 부두 혹은 보던 이라고 하는데 이 춤에 의해서 흑인 노예들이 결속하는 것을 타파하기 위하여 가끔 흑인들이 즐겁게 춤출 수 있는 행사를 마련하였다.
남부지방에서는 흑인음악연주가나 무용수가 많았다.이들 가운데 1825년경에 태어난 뷰바는 자유민으로서 원래의 이름은 윌리엄 헨리레인이었다. 그는 뛰어난 댄서로서 독특한 연기능력을 가지고 있었고, 1848년에는 런던으로 가서 대단한 찬사를 받았다. 그러나 대부분의 흑인 무용수나 연기자들은 일자리를 얻기가 극히 어려웠고 그들이 맡는 역할도 형편없는것 있었다.
4.쉐이커 댄스
서부에 위치한 몇몇 주에서 쉐이킹 퀘이커 교도 혹은 쉐이커 교도라고 불리우는 독특한 프로테스탄트 교파의 교도들이 나타났다. 이들은 부패한 사회를 거절하고 결혼을 부정하며 육체적 교섭을 거부하는 몹시 엄격한 계율을 가지고 있었다.
쉐이커 교도들이 예배를 위해 초기 집회에서 행한 행동은 중세의 무도광들의 모습과 흡사했다.
쉐이커 교도들은 1792년경에는 큰 예배당을 가진 지부를 11개로 늘리면서 교세를 급속히 확장해 나갔다.
초기에는 개인적인 표현에 의존했던 쉐이커춤은 점차 보다 조직화하고 구조화 형태를 갖추면서 변화하였다. 이 춤에는 신의 보좌 주위를 천사들이 춤을 추면서 도는 모습을 환상적으로 표현한 스퀘어 대형의 샤플 춤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활력적인 예배 의식이 교인이 아닌 사람들에게 감명을 주고 개종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인식하자 동부의 쉐이크교지도자들은 활력있는 노래를 작곡하고 무용을 안무하는데 박차를 가하기 시작하였다. 이 춤에는 다양한 대형과 동작들이 사용되었고 무언극도 점차 첨가되기 시작하였다. 절하기, 발구르기, 빙빙 돌기, 신의 계시를 실현하기 등과 같은 몸짓들은 다소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상징적인 의미로서 예배식의 한 구조로서 구체화 되어갔다. 1840년에는 신앙의 대부흥이 있었고 예배식의 일부분으로 복잡하며 정교한 춤을 차츰 개발해 갔다. 이때의 춤에는 라인댄스, 크로그댄스, 스퀘어댄스, 스타 댄스 등과 춤이 사용되었다. 1900년대 초부터 쉐이크 교도들의 종교는 점차 쇠퇴해 갔다.
<출처- 세계 무용사 , 금광>
'발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용교육의 발전 2 (0) | 2023.01.15 |
---|---|
무용 교육의 발전 (0) | 2023.01.15 |
춤추듯 살자. 오래오래 행복하게 (0) | 2023.01.15 |
티비를 보다가 (feat. 백조클럽) (0) | 2023.01.15 |
발레 , 세기의 라이벌 (0) | 2023.0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