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학교 무용과 창작무용
1930년대에는 민속무용, 사교춤, 현대무용 등이 공존하던 시기였다.
민속무용과 민족무용은 전 미국의 중등학교와 대학에 확대되었으며 탭댄스는 1920년대와 1930년대 초에 중등학교와 대학에서 널리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탭댄스는 추기에 클로그 댄스라는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이 춤은 나무창을 댄 구두를 신고 거칠고 둔중하면서도 리드미컬한 음을 만들면서 추었다. 그러나 1940년대부터는 테육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없는 기계적인 형태의 활동으로 간주하여 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상당히 퇴조하였다.
1930년대 초부터 학교에서 가르친 창작무용은 콜비가 가르쳤던 자연스러운 댄스에 기초를 둔 것으로 초등학교에서는 교사들의 지시나 사실적인 교육생들이 움직일 수 있도록 암시를 해주었다.
고등학교나 대학의 학생들에게도 자연스러운 댄스 이론에 입각한 자유로운 접근법을 다수의 교사가 강조했다. 톰프슨은 이 시기의 창작무용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무희를 기르는 것이 아니라 인격을 개발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발전되었으며 모든 동작은 신체의 자연스러운 움직임과 보통 행할 수 있는 동작에 근거를 두고 있다. 그러나 그 동작들은 학생들이 쉽게 할 수 있고 완전한 밸런스와 협응능력을 가지고 움직일 수 있을 때까지 연구되고 연습 되었다. 이 당시에는 창작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전에 신체를 도구로써 훈련해야만 한다는 확신이 없이 개인적인 독창력과 미적 표현에 중점을 두었다. 1930년대에 이르러서는 예술무용가들의 영향으로 기술과 무용 동작이 다양화되고 예술적인 형태로서 무용도 커다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각급 학교의 무용교육자들은 무용기교를 배우고 새로운 매개체의 예술적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하여 특별한 워크숍을 받거나 무용가의 연습장에 가서 연구를 시작했다. 한편 예술가들은 많은 학교 지도자들이 자신의 수업에 참석하기를 바라고 자기의 관객 확보를 위해서도 이들을 환영하였다.
2.극장 무용의 시작
식민지 시대 초기에는 배우, 가수, 무용수, 곡예사 등 무대 연기자들이 천시되었으나, 연예에 대한 금지 조치들이 차츰 완화되면서 극장이 개발되기 시작하자 직업적인 연기자들을 구하기 시작하였는데, 초기에는 무용 교사나 반 직업적인 사람 혹은 비직업적인 사람들이 여기에 응했다.
1700년대에는 유럽의 직업적인 단체들이 미국에서 공연하였는데 첫 번째 단체로는 헬렌을 중심으로 한 영국 극단으로 할리퀴네이트, 스펙터클 등과 같은 춤을 상영하였다. 1767년에는 뉴욕에 존 스트리트 극장이 개관되어 공연예술의 중심지가 되었다. 1774년에는 극장 활동이 금지되었다가 곧 폐지되었다.
1792년 풀어라 세 번째와 그의 단원들이 오페레타와 발레를 공연하였다. 듀랭은 1790년대 초기의 무용가였는데 배우, 무대장치가, 작가, 익살 광대 등 수많은 무대예술 부문에 참가하여 명성을 얻었다. 후에는 유럽의 무용수들과 더불어 전국을 순회공연 하였다. 미국의 무용 작품으로는 1794년 필라델피아의 뉴 체스 널 극장에서 상영된 라 포데 나가라 유명하였다. 이 작품은 프랑스 무용가 가르디 가 주연을 하고 듀랭이 파트너 역할을 하였다. 1800년대 초에 이르는 동안 유럽 무용단의 미국 방문은 점점 증가하였으며 관객들의 무용에 대한 지식도 점점 증가하여 갔으나 무용을 공연할 장소와 미국에 정착하여 지도하는 지도자가 없었다.
3.독일학교 체육과 무용
여자 체육이 학교에서 실시되기 시작한 것은 아돌프 스피츠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구로 캐기 1851년 베를린에서 처음으로 여자체육을 개혁하고 자기 중앙체조학교에서 시작했다. 그 후 각 방면에서 여자체육이 연구되어 1894년 5월 31일 고등여학교에 체조가 필수과목이 되었다. 이 체조 가운데 무용은 음악 유희라고 표시되어 있으나 그 형태는 확실하지 않고 추측건대 전체가 손을 잡고 원을 만들어서 놀 하며 춤춘 것으로 생각된다. 이 외에도 무용실의 질서 운동, 도수 운동, 수구 운동을 음악 반주에 맞추어 행하는 레이던이라고 하는 것이 행하여졌다. 1907년경부터 단순한 운동형식이나 근력이 있어야 하는 운동이 장려되어 음악 유희는 생략되었다. 1913년 다시 형식이 다른 창가 유희가 학교체육 가운데 삽입되게 되었다.
창가 유희를 학교에 도입한 공로자는 바이엘과 라도슐이다. 바이엘은 1907년 체육 유희와 창가 유희를, 라도슐은 1912년 창가 유희를 실시했다. 라도슐의 생각에 의하면 무용은 여자가 천성적으로 좋아하는 것으로 그 사실을 무시하는 학교는 죄악이라고 했다. 여기에서 정의적인 면을 역설한 창가 유희가 탄생한 것이다. 또 민속무용이 교재로 등장했다. 이들은 맨손체조나 질서 운동과는 관계없이 자유롭고 유희적으로 지도되었다. 그러나 처음에는 여자 체육 교사가 민속무용을 모르기 때문에 여간해서 체육의 교재로서 도입할 수가 없었으나 점점 민속무용을, 춤출 수 있게 되어 민속무용이 여자체육 가운데 확고한 지반을 갖게 되었다.
4.데뷔와 뮤지컬
데뷔와 뮤지컬은 한계를 짓기가 곤란할 정도로 혼용되어 왔다. 데뷔란 말은 프랑스어의 류 뷰에서 비롯된 것으로 열병식이나 재의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다시 말하면 열병 신 적인 구성 미나 희고 록적인 작품을 가리키는 넓은 의미의 데뷔라는 말이 가져다준 것이다. 현재 프랑스에서는 데뷔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고 보드빌이라 불리고 있다.
뮤지컬은 데뷔와 같은 의미의 음악 극적인 것을 해석하여 영 붙인 이름이다.
억지로 데뷔와 뮤지컬을 분리한다면 레뷰는 스펙터클 적인 댄스를 주제로 한 음악성을 띤 무대를 의미하나 현재에는 뮤지컬 가운데 속한 것이다. 뮤지컬은 데뷔를 포함한 극적 요소가 강한 뮤지컬 플레이에서부터 스펙터클 적 요소가 강한 뮤지컬 쇼 후에 이르기까지 넓은 범위를 가진다.
<출처 - 세계무용사 , 금광>
'발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레의 혁신기 (0) | 2023.01.17 |
---|---|
낭만주의 발레 <라 실피드> (0) | 2023.01.16 |
무용 교육의 발전 (0) | 2023.01.15 |
세계 무용사, 각 나라의 무용 (0) | 2023.01.15 |
춤추듯 살자. 오래오래 행복하게 (0) | 2023.0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