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

무용교육의 발전 2 1.학교 무용과 창작무용 1930년대에는 민속무용, 사교춤, 현대무용 등이 공존하던 시기였다. 민속무용과 민족무용은 전 미국의 중등학교와 대학에 확대되었으며 탭댄스는 1920년대와 1930년대 초에 중등학교와 대학에서 널리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탭댄스는 추기에 클로그 댄스라는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이 춤은 나무창을 댄 구두를 신고 거칠고 둔중하면서도 리드미컬한 음을 만들면서 추었다. 그러나 1940년대부터는 테육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없는 기계적인 형태의 활동으로 간주하여 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상당히 퇴조하였다. 1930년대 초부터 학교에서 가르친 창작무용은 콜비가 가르쳤던 자연스러운 댄스에 기초를 둔 것으로 초등학교에서는 교사들의 지시나 사실적인 교육생들이 움직일 수 있도록 암시를 해주었다. 고등.. 2023. 1. 15.
무용 교육의 발전 1. 무용교육의 발전 1800년대에서의 미국 무용 교육의 발전은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교육의 종목 확장과 여성을 위한 사설 학원, 사립 중등학교 밑 대학의 설립과 관계가 깊다. 1800년대 초에는 주립대학이나 교회재단의 대학 설립이 많았고 마운트 홀리오크 및 뉴 잉글랜드의 곳곳에 여자대학이 최초로 설립되어 무용 과목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에마 윌라드 는 버몬트에 있는 미들베리 대학에서 1807년부터 1808년 까지 겨울 동안에 수업하였는데 후에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날씨가 너무 추워 더 이상 견딜 수 없게 되자 모든 여학생을 마루에 집합시키고 컨트리 댄스를 하기 위하여 그들을 두 줄씩 긴 열로 정렬시켰다. 그리고 노래를 부를 수 있는 아이들이 활발한 노래를 부르기 시작하면 내가 소녀 중에서 한 아이와 .. 2023. 1. 15.
세계 무용사, 각 나라의 무용 1.미국의 예술무용 1800년이 되면서 동부지역에 극장이 건립되고 뉴욕과 필라델피아는 무용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프랑스의 무용수들이 미국의 발레를 지배하기 시작했다. 휘땐 (hutin) 은 최초로 성공한 발레리나 였다. 1840년 에는 엘쓸러가 2년에 걸쳐 전 미국을 순회 공연하여 대단한 성공을 거두었다. 이밖에도 미국에서 공연을 한 무용수 중에는 마리따 글리오니, 쁘띠빠, 엔리코, 체크쉐티 등이 있었으며 이들은 미국 발레의 전통을 창조하지는 못했으나 미국의 우수한 발레리나를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 때의 미국의 무용수 가운데 뛰어난 사람으로는 마리 안리, 줄리아 턴빌, 어거스타 메이우드. 조지 워싱턴 스미스 등이 있었다. 1800년대 후반에는 이들 무용수와 겨룰 만한 사람이 미국에서는 나타나지 않았.. 2023. 1. 15.
춤추듯 살자. 오래오래 행복하게 1. 공명 어떤 것을 보면 가슴이 뛰고 잊혀지지 않고 더 선명해지고 꿈틀 꿈틀 대는 무언가가 있다. 아주 어릴때 연습장 한켠에 그려보았던 나의 꿈. 빌딩 그려놓고 한층 한층 한층 아트컴퍼니 세우는 것. 그땐 세상 물정 모르고 빌딩을 그렸다 정말 말그대로 그냥 꿈이었다. 그것이 이루어 지기에 나는 가진것이 아무것도 없다고 생각해서 그냥 꿈인데 뭐 하며 그려보고 적어보았었다. 꿈꾸는건데 뭐 , 어때. (사실 그때 그릴때 어린아이와 같은 순수한 믿음으로 아빠 이거 하고싶어요 해주세요 하며 그렸다 ) 시간이 지나면서 그 꿈에 대해 그땐 생각하지 못했던 더 아름다운 의미 들이 생기기 시작 했다. 단지 나의 꿈 이었는데 그것이 또 다른 누군가와 함께 나눌수 있고 내가 이 일을 하게 된 것이 단지 내가 빛나기 위함이.. 2023. 1. 15.
티비를 보다가 (feat. 백조클럽) 1.백조클럽 시청 만감이 교차해서, 글로 남겨 본다. 그냥 덮으려다가. . 티비프로그램 보다가 감동받고 눈물 난건 참 오랜만이라서, 발레를 소재로 한 예능이라고 해서 기대, 걱정, 편견 등이 있었다. 그냥 얕게 다루고 본질과 상관없이 발레가 다뤄지진 않을까.. 걍 다리찢기=발레 로 나오진 않을까.. 보면서 괜히 눈살 찌푸리고 스트레스 받지 않을까. 고민하다가. 일단 봤다. 캐스팅도 참 좋았고, 내가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무용수 김지영 발레리나 선생님이 나와서 또 좋았고,, 표현, 춤의 힘,, 안무를 해보는, 과제까지 있어서 끝까지 보게되었다. 한사람 한사람에게 그 상황과 마음에 공감이 되어서 너무 좋더라.. 다들 대본 아닌 리얼 인게 보여서 좋더라. 왕지원 님 에게 너무 감정이 이입되어서 , 연기가 .. 2023. 1. 15.
발레 , 세기의 라이벌 1. 라이벌 발레계에서도 라이벌이 존재했다. 라이벌의 역사는 치마를 자른 카마르고 시대로 올라간다. 발레리노에서 발레리나의 시대로 옮겨가면서 라이벌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테크닉이 수려했던 열정 넘치는 카마르고의 인기는 객석을 열광시키기에 충분하였다. 그러나 늘 시대에 대적할만한 라이벌은 한명씩 존재하는 법. 카마르고와는 완전히 대조적인 이미지의 마리 살레가 바로 주인공이다. 그녀는 그리스 조각에서 본 듯한 모습의 발레리나로 화려한 테크닉이 아닌 정서에 호소하며 춤을 추는 서정적인 발레리나였다. 살레의 등장으로 춤 스타일에 따라 팬층이 갈라지며 늘 대중의 관심 대상이 되었다. 두 지지파로 나누어져 벌어진 논쟁들은 단순한 인기 논쟁이 아니라 발레의 요소와 춤의 측면들 그리고 테크닉과 표현의 필요성에 대한 깊.. 2023. 1. 14.
반응형

</